GTX의 지하 40~50m의 공간을 활용하여 수도권 도시와의 직선코스로 계획하여 짧은 시간 안에 수도권안에서 활동 하고 일을 할수 있게 착안한 노선이다.노선을 직선화하여 중간 역사 정차시간을 포함하여 평균속도를 시속 100km, 최고 시속 200km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토지 보상이 적게 들고 주민들의 님비 현상이 없을 것으로 사료 된다. 지금 현재는 만성화된 교통 수단의 막힘으로 막대한 비용이 허비 되고 있으며 이런 교통수단의 일종으로 직선화 하는 교통 고속 철의 개념이다).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은 교통망이 도로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만성적인 교통 체증을 겪고 있으며, 해외의 대도시권에 비해 철도 교통망이 매우 취약한 수준이다. .
서울시와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의 교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가 제안한 수도권광역급행철도이다.A형.B형.C형으로 수도권을 삼분화 하여 짧은 시간에 수도권을 왕래 할수 있는 개념의 광역 철도 시설이다.GTX의 특징은 이용하지 않는 지하 40~50m의 공간을 활용하여 토지 보상비를 줄이고, 노선을 직선화하여 평균속도를 시속 100km, 최고 시속 200km까지 높인다는 계획이다. A형킨텍스-동탄, B형청량리-송도, C형의정부(동두천)-금정(수원)을 잇는 3개 노선을 계획 중이다.
예상 노선
킨텍스-동탄, 청량리-송도, 의정부-금정(수원)을 잇는 3개 노선(총 연장 145.5km)을 계획 중이다.
A 노선 수도권을 빠른 속도로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 GTX 노선 중 하나로, 운정신도시와 동탄역을 잇는다. 현재 제안된 세 노선 중 현재 가장 진척이 빠른 노선이다. 킨텍스-동탄 노선은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경기도 화성시 동탄 신도시(킨텍스-용산-강남-성남 또는 판교-죽전 또는 기흥-동탄)를 연결하는 74.8km 구간으로, 경기도 서북부와 서울 도심, 경기도 동남부를 가로지르게 된다.
B 청량리~송도.. 청량리-송도 노선은 서울 청량리에서 인천 송도(청량리-용산-여의도-당아래-부평-송도)까지 연결되는 49.9km 구간으로, 통행량이 많은 서울 도심과 부천, 인천을 지나간다.21세기 들어서 대한민국에서 노선의 기본구상이 나온 후 이보다 진행이 빨랐던 노선은 강릉선 KTX를 제외하면 없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고양과 성남의 인구를 고려하면 이 사업은 민간사업자가 눈독 들이기 쉽고, 여차하면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C노선 금정(수원)~ 의정부(동두천)의정부
의정부-금정 노선은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경기도 군포시 금정(의정부-동 또는 상계-청량리-강남-양재-과천-군포-수원)까지 연결하는 49.3km 구간 으로, 서울 동부권을 중심으로 경기도 남북축을 가로지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