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주택임대차보호법,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개정법

賢泉가이(젊은 그대) 2013. 10. 22. 13:57

법무부에서는 2013.10.14(월) 소액 임차인의 우선변제금을 상향하고

적용대상 보증금을 확대하는 등의 내용으로

주택 및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였습니다..

 

개정된 시행령은 입법절차를 거쳐 2014.01.01부로 시행될 예정입니다...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택임대차보호법

                                       - 우선변제를 받을 임차인의 범위 확대

                                          (서울의 경우 현행 보증금 7,500만원 → 9,500만원)

                                       - 보증금의 월세 전환시 전환율의 상한 축소(현행 14% → 10%)하고

                                         한국은행 공시기준 금리(현재 2.5%)에 곱할 배수를 4배(10%)로 정함

                                         (금리하락시 인하된 금리 4배 적용, 금리상승시 상한율 10% 적용) 

                                       - 지난 7월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상 확정일자 부여 및

                                         정보제공 요청권과 관련한 근거규정 마련

 

                               2.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의 적용대상 보증금액 상향 조정

                                         (서울의 경우 현행 3억원 → 4억원 상향)

                                       - 소액임차인의 우선변제금 상향 조정

                                       - 보증금 월세 전환시 전환율 상한 조정 (현행 15% → 11.25%)

 

이에 대해 모 야당에서는 보호범위를 초과한 상태에서는

임대기간과 보증금을 보호받지 못한다면서

대차보호법 적용범위 자체를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네요...

 

글쎄요...

물론 주임법과 상임법이 현실을 완벽하게 반영하지는 못하며,

억울한 사연이 있을지라도

이 부분은 너무 극단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선순환이 이루어질지 의문입니다...

 

참고로 최우선변제권에 대하여 간략하게 말씀드리자면

임차주택이나 상가의 경,공매시 소액임차인의 보증금 중 일정액을

다른 담보물권자보다 최우선하여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로

보호대상 임차인의 범위에 해당하는 보증금 이하일 경우에

우선변제받을 보증금의 범위내에서 최우선하여 변제 받을 수 있으며,

주택은 주택가액(낙찰대금+입찰보증금에 대한 배당기일까지의 이자+몰수된 입찰보증금 등 포함)1/2,

상가는 임대건물가액의 1/3 범위내에서 우선 변제받게 됩니다.. 

 

최우선변제 성립요건은

 ①경매개시결정 등기 전 대항력(주택의 인도(점유)와 전입신고, 상가는 사업자등록)을 갖추고

② 배당요구 종기일까지 배당요구를 하여야 합니다.. 확정일자는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점은 기준일의 판단은

임대차 계약 기준이 아니라 최초 근저당권 설정일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입니다..

                 

 

출처 : 토지사랑모임카페
글쓴이 : 노총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