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월곶~ 판교 전철

賢泉가이(젊은 그대) 2017. 7. 21. 10:49

   월곶~ 판교 복선전철 안양에 4개역이 신설된다고 합니다

 


국토교통부의 월곳~판교 복선전철사업에 경기 안양지역을 경유하는 4개의 신설역사가 설치될 전망이다.

 경기 안양시는 지난 14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월곶~판교 복선전철 기본계획(안)'에 만안구 석수사거리 등 4개 신설역사 설치계획이 반영됐다고 18일 밝혔다.

 신설역사는 만안구 2개(석수전화국, 벽산사거리), 동안구 2개(종합운동장, 인덕원) 등이다.

 앞서 2015년 국토부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만안구 1개(안양역 환승), 동안구 2개(종합운동장, 인덕원) 등 3개 신설역사 계획이 포함됐다.

 이후 시는 지난해 3월부터 동안구에 비해 낙후된 만안구의 도시발전과 철도접근성 확보를 위해 만안구 지역 신설역사를 국토부에 요구했다.

 그 결과 시가 신설역사 사업비 일부를 부담하는 조건으로 국토부와 최종 합의, 이번 기본계획(안)에 반영됐다.

 시는 신설역사 1개소, 철도노선 연장 비용, 환승 통로 개설비용 등에 1336억원이 소요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국토부는 8월께 현재 진행중인 전략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거친 뒤 10월 총 사업비 및 기본계획이 확정될 계획이다.

 김영일 도로교통사업소장은 "이번 복선전철 사업이 이후 안양지역의 철도노선 개설계획이 없고, 만안구와 동안구의 균형발전을 위해 국토부에 추가 역사 신설을 요구했다"며 "이번 신설역사 계획이 최종 결정돼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월곶~판교 복선전철 건설사업은 시흥 월곶에서부터 광명역, 안양을 거쳐 성남 판교까지 연결하는 사업으로 총 연장 34.6㎞, 총 사업비 2조4016억원이 투입된다.

 일반간선철도와 준고속열차(EMU250) 등이 복합 운행되며 2021년 착공, 2024년에 준공될 예정이다.

 준공 이후 월곶~판교 복선전철은 현재 기본계획 수립중인 여주~원주 철도건설과 연결, 인천 송도에서 강원도 강릉까지 이어지는 동서 간선 철도망으로 구축된다.


안양시는 지난 18일 안양시청 상황실에서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추진 중인 월곶~판교 복선전철 기본계획(안) 설명회를 통해 인덕원사거리 등 시 주요 거점지역에 4개소의 역 신설 계획이 반영되었다고 밝혔다. 
당초 2015년 예비타당성조사에서는 안양구간에 신설하는 역이 만안구 1개소, 동안구 2개소 총 3개소가 포함되어 동안구에 비해 낙후된 만안구는 도시발전 및 철도 접근성 등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했다. 
시는 노선변경 및 역 신설 문제를 국토교통부 등에 수차례 요청하고 다양한 대안노선을 지속적으로 제안 ․ 협의했다. 그에 따라 계획변경 등에 따른 사업비를 시가 일부 부담하는 조건으로 만안구 2개소, 동안구 2개소에 총 4개소의 역 신설 계획이 월곶~판교 복선전철 기본계획(안)에 반영됐다.
월곶~판교 복선전철 유치로 원도심인 만안구와 신도시인 동안구의 조화롭고 균형있는 도시발전을 꾀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안양로 등 주요도로의 상습적인 교통 혼잡을 해소하는 한편 새로운 상권 형성 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로 만안구의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이 예상된다.
이필운 안양시장은“월곶~판교 복선전철 유치를 통해 제2의 안양부흥을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이 갖추어 짐에 따라 만안구와 동안구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수도권의 중심 도시로 발돋움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월곶~판교 복선전철은 시흥 월곶에서 안양 인덕원을 거쳐 성남 판교까지 34.6Km 구간에 총사업비 약 2조 4,016억원을 투입하여 국토교통부가 건설하는 철도로 2021년 착공하여 2024년 개통예정으로, 기 운행중인 판교~여주(경강선), 계획중인 여주~원주, 공사중인 원주~강릉선과 연결되는 동서축  간선철도이다.


  사업개요 
   사업기간 : 2016~2024년(예정)
   연    장 : 34.6Km(월곶~광명역~인덕원~판교)
    * 안양 : 석수전화국사거리~벽산사거리~운동장사거리~인덕원사거리

   사 업 비 : 약 2조 4,016억원
    * 일반전철, 준고속열차 복합운행

   시행주체 : 국토교통부(철도건설과)
    *현재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중(국토교통부)